![](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8Ci8n/btqQCy8k1v3/iKWKG0EYuNE81qZwx6rFkk/img.png)
0. 주저리주저리 네이버의 몇 API를 살펴보던 중 파파고가 그나마 괜찮을 것 같아서 한번 써봤다. 이전에 검색 API를 사용해봤는데 활용법을 잘 모르겠어서, 그나마 활용해볼 수 있는(?) 번역 API를 사용해봤다. 사용법은 정말 간단하고 네이버 홈페이지에 아주 잘 나와있다. 1. 사용 우선, developers.naver.com/ NAVER Developers 네이버 오픈 API들을 활용해 개발자들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API 가이드와 SDK를 제공합니다. 제공중인 오픈 API에는 네이버 로그인, 검색, 단축URL, 캡차를 비롯 기계번역, 음 developers.naver.com 이곳으로 이동해서 번역(파파고) 애플리케이션을 하나 만들어서 client키와 secret을 발급받자, 그..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TnZuA/btqPNw98s3l/bNwtPd9q5ps0Zbd04OH960/img.png)
0. 주저리주저리 우선 API만 사용할 줄 알아도 꽤나 쓸만한 app을 만들 수 있다. 그런 점에서 100% 꿰뚫고 있어야 한다! 까지는 아니고 대충 어떤 원리로 동작하는지, 그 정도만 조금 알아도 필요할 때 바로 습득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그러기에는 xml, json에 대해서 간단한 지식이 있어야 하고 http의 GET방식 등이나 이런 것에 조금 기초 지식이 있으면 좋을 것 같다. Google은 조금 복잡해서 차차 써보기로하고 간단한 naver부터 해보았다. 1. Naver API 사용하기 developers.naver.com/ NAVER Developers 네이버 오픈 API들을 활용해 개발자들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API 가이드와 SDK를 제공합니다. 제공중인..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7dt58/btqMvK4oCng/tenWCJPKu8Q4fHonKdVK01/img.png)
학부 저학년 때 개발했던 프로그램입니다. 그때는 성능보다는 개발을 우선으로 해서, 과제용으로는 충분할지 모르겠으나 어디 보여주기엔 좀 그래서... 외장하드에 묻어두다가 그래도 그때 개발했던 내용을 공유하고자 글을 씁니다. 그리고 그때 부족하다고 생각했던 부분들을 수정해서 성능도 훨씬 끌어 올렸습니다. 처음엔 C로 구현을 했으나, heap 같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 위해 C++로 구현했습니다. ( C에서 직접 구현해서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0. 주저리주저리 허프만코드를 사용해서 압축을 한 프로그램입니다. 결국엔 파일을 읽어서 빈도수를 구한 뒤 허프만 코드를 만들고, 1byte에 1bit씩 채워나가면서 프로그램을 압축하는 형식입니다. 프로그램은 압축, 압축해제 2개의 큰 부분으로 나뉩니다. 압축은 허프만트리..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IAnqb/btqHJjC8e5p/9gFWJ0dKksCYKKnCkolSG0/img.png)
0. Flow chart 이런 개발 쪽에서 가장 중요한 Flow chart(순서도)부터 정의해봅시다. 진~~~ 짜 핵심적인 부분만 간단하게 하면 위의 순서도와 같다. 이거보다 더 단순하게 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물론 저 순서도에서 박스 하나하나 마다 안에 코드는 많지만 크~게 보자면 위의 순서도와 같겠다. 전체 코드를 설명하기보다는 이 전 포스팅의 https://kibbomi.tistory.com/161 [C++ / 2인용] 테트리스 개발 ( Class 부분 ) 학부 2학년 1학기 때 만들었던 테트리스.. 몇 년이 지나 이제야 올려봅니다. 가장 처음, 어떤 기능을 가진 Class들을 정의할 것인지 봐야 한다. GUI는 적용하지 않고 Console환경에서 실행할 것이다. Cl kibbomi.tistory..
학부 2학년 1학기 때 만들었던 테트리스.. 몇 년이 지나 이제야 올려봅니다. 가장 처음, 어떤 기능을 가진 Class들을 정의할 것인지 봐야 한다. GUI는 적용하지 않고 Console환경에서 실행할 것이다. Class는 간단한 것에서부터 복잡한 거 순서대로 설명하겠습니다. 1. Point Class 흔히 PS에서도 접해볼 만한 Point Class. 배열의 y, x를 다루는데 class형태로 만들어서 조금 부가적인 기능을 더 해준 형태라고 보면 된다. #ifndef KIBBOMI_POINT #define KIBBOMI_POINT ///배열의 좌표, Console화면의 좌표를 설정 class Point { public: Point(int x = -1, int y = -1); int GetX() c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