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등 클라우드 기업 제품을 또 사용해봐야 이것저것 비교 가능하니 크레딧받고 체험해 봤습니다. 이전에는 GCP를 사용했는데, 흠.. 콘솔, 성능 등을 둘째치고 사람들 모으려면 크레딧을 좀 더 길게, 더 많이 줘야 사용해보지 않을까.... 싶네요. 구글은 $300/3month, 네이버는 100,000원/3month.. 더 줘도 모자랄 판에!!!! 물론 돈이 부족한 건 아니나 학생들 심리상 구글을 선택하지 않을까 싶네요.. 그냥 개인적으로 사용해보고 AWS, Azure, GCP와 경쟁력이 있을까?를 생각해보며 느낀 점을 적었습니다. 네이버 클라우드 블로그에서 다른 회사들이 왜 네이버 클라우드를 썼냐, 라는 질문에는 대부분 자연어 처리 관련이 강력해서라고 답했다. 또, 고객센터가 엄청 친절하다고 한다! 가..
Ansible이 무엇이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는 알고 오셨을거라 생각합니다. 본 글에서는 Ansible을 활용하기 위한 간단한 환경을 만들고 웹서버를 설치하고 띄우는 것 까지 다룹니다. 밑에서는 Docker를 사용해 손쉽게 실험환경을 만들었습니다. Docker를 사용하지 않고 Cloud에 원격 서버를 사용해도 되고, 노트북여러개를 써도 되고, VM을 써도 됩니다. Docker를 다룰줄 아시면 정말 빠르게 실험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worker에 ansible agent를 설치하지 않고 ssh로 통신하기 때문에 아주 간단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최고) 1. 실험 환경 실험 환경은 뭐니뭐니해도 그림으로 그려서 보는게 가장 편합니다.. 여기서 주목할만 한 것은 1) 어떤 하나의 Ansible s..
최근 VPN 서버를 만들일이 있어서 이것저것 세팅하다가 구글에 제대로 된 정보가 몇 없어서 다른 분들께 도움이 되고자 글을 남깁니다. Apache 웹 서버를 사용했습니다. 공유기 밑에 있는 내 서브넷의 외부에서 나의 웹 서버에 접속하려면 포트포워딩, 방화벽 등 손봐야 할 곳이 있다. 이걸 인터넷에 찾아보면 전부 서로 복사 붙여넣기한 글밖에 없고.. 좀 제대로 된 글은 몇 개 없다. (짜증.. 특히나 어린이들이 게임한다고 방만들 때? 많이 찾아볼 텐데.. 괜히 건드리면 안 될 것들을 건드리게 해 놓고.. 하는 등....) 일단, NAT나 공유기, 서브넷, 같은 원리는 알고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걸 모르는 분들이 웹서버를 운영할 일은 없을테니까요. 그리고 꼭 웹서버가 아니어도 통신은 같은 원리로 되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