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 주저리주저리 네이버의 몇 API를 살펴보던 중 파파고가 그나마 괜찮을 것 같아서 한번 써봤다. 이전에 검색 API를 사용해봤는데 활용법을 잘 모르겠어서, 그나마 활용해볼 수 있는(?) 번역 API를 사용해봤다. 사용법은 정말 간단하고 네이버 홈페이지에 아주 잘 나와있다. 1. 사용 우선, developers.naver.com/ NAVER Developers 네이버 오픈 API들을 활용해 개발자들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API 가이드와 SDK를 제공합니다. 제공중인 오픈 API에는 네이버 로그인, 검색, 단축URL, 캡차를 비롯 기계번역, 음 developers.naver.com 이곳으로 이동해서 번역(파파고) 애플리케이션을 하나 만들어서 client키와 secret을 발급받자, 그..

0. 주저리주저리 우선 API만 사용할 줄 알아도 꽤나 쓸만한 app을 만들 수 있다. 그런 점에서 100% 꿰뚫고 있어야 한다! 까지는 아니고 대충 어떤 원리로 동작하는지, 그 정도만 조금 알아도 필요할 때 바로 습득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그러기에는 xml, json에 대해서 간단한 지식이 있어야 하고 http의 GET방식 등이나 이런 것에 조금 기초 지식이 있으면 좋을 것 같다. Google은 조금 복잡해서 차차 써보기로하고 간단한 naver부터 해보았다. 1. Naver API 사용하기 developers.naver.com/ NAVER Developers 네이버 오픈 API들을 활용해 개발자들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API 가이드와 SDK를 제공합니다. 제공중인..

C# Collection에 속한 Queue에 관한 글입니다. 특별히 List처럼 안의 값을 바꾸거나, 정렬 등등을 하는 데 사용하지는 않습니다만, 여러 알고리즘에 사용하고 있는 중요한 자료구조중 하나입니다. 알고리즘뿐만 아니라 개발에도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글은 완벽한 성능 분석글이 아닙니다. 단순히 C#의 MSDN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이나, 평소 C++을 사용하면서 STL의 Queue에서 사용했던 것 중 유용하고 자주 사용했던 부분을 설명할 예정입니다. 참고하는 부분은 MSDN의 C# Collection Queue내용입니다. 틀린 부분은 댓글을 달아주시면 확인 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 1. Queue의 특성 C++의 Queue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FIFO 이런 거는 다 알..

C#의 Collection에 속한 List 에 관한 글입니다. 완벽한 성능분석이 아닌, C++에서 사용한 Vector의 간단한 사용법과 비교하면서 같이 중요하고 주로 사용했던 부분들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이 글은 C++의 STL을 다룰 줄 아시는 분 or 사용해본 경험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작성하였습니다. 글은 MS의 MSDN을 참고했고, 틀린부분은 댓글을 달아주시면 확인 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 1. List의 특성 C++의 Vector와 상당히 비슷합니다. 배열인데 동적으로 메모리를 관리해주고.. 자유롭게 삽입 삭제했다가 정렬도 할 수 있습니다. 특별하게 사용했던 것은,, Serialization을 할 때 유용하게 사용했던 것 같습니다. 어떤 클래스에 담긴 데이터들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