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로 호스팅 할 일이 생겨서 외부에서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보다가 다른 분들께 도움이 되고자 글을 남깁니다. 내 Docker의 Container에 접속할 수 있는지 체크해보는 방법 중 가장 간단한 게 웹서버를 띄워서 체크해보는 것이다. 우선, docker의 개념을 조금 알고, 아주 간단한 명령어 run , pull , ps 등의 명령어는 알고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1) 실행 환경 테스트에 사용할 웹서버는 nginx 웹서버를 사용하겠습니다. (포스팅한 날짜 기준 latest버전->그래서 버전관리는 latest로 하면 헷갈립니다.) 운영체제는 win10 home이고 docker toolbox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른 도커랑 다른 점은 Virtual box에 얹어서 실행한다는 점이 다릅니다. (2..
최근 VPN 서버를 만들일이 있어서 이것저것 세팅하다가 구글에 제대로 된 정보가 몇 없어서 다른 분들께 도움이 되고자 글을 남깁니다. Apache 웹 서버를 사용했습니다. 공유기 밑에 있는 내 서브넷의 외부에서 나의 웹 서버에 접속하려면 포트포워딩, 방화벽 등 손봐야 할 곳이 있다. 이걸 인터넷에 찾아보면 전부 서로 복사 붙여넣기한 글밖에 없고.. 좀 제대로 된 글은 몇 개 없다. (짜증.. 특히나 어린이들이 게임한다고 방만들 때? 많이 찾아볼 텐데.. 괜히 건드리면 안 될 것들을 건드리게 해 놓고.. 하는 등....) 일단, NAT나 공유기, 서브넷, 같은 원리는 알고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걸 모르는 분들이 웹서버를 운영할 일은 없을테니까요. 그리고 꼭 웹서버가 아니어도 통신은 같은 원리로 되니까 ..
1. 문제 링크 www.acmicpc.net/problem/2150 2150번: Strongly Connected Component 첫째 줄에 두 정수 V(1 ≤ V ≤ 10,000), E(1 ≤ E ≤ 100,000)가 주어진다. 이는 그래프가 V개의 정점과 E개의 간선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의미이다. 다음 E개의 줄에는 간선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두 정 www.acmicpc.net 2. 문제 개요 방향 그래프가 주어졌을 때, 그 그래프를 SCC들로 나누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3. 문제 힌트 코사라주 알고리즘(kosaraju's algorithm), 타잔 알고리즘(Tarjan's algorithm)을 사용하여 SCC를 선형시간에 구함. 4. 문제 풀이 결국 알고리즘을 알아야 풀 수 있는 문제이다. ..
1. 문제 링크 www.acmicpc.net/problem/17404 17404번: RGB거리 2 첫째 줄에 집의 수 N(2 ≤ N ≤ 1,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각 집을 빨강, 초록, 파랑으로 칠하는 비용이 1번 집부터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집을 칠하는 비용은 1,000보다 작거나 www.acmicpc.net 2. 문제 개요 RGB거리에는 집이 N개 있다. 거리는 선분으로 나타낼 수 있고, 1번 집부터 N번 집이 순서대로 있다. 집은 빨강, 초록, 파랑 중 하나의 색으로 칠해야 한다. 각각의 집을 빨강, 초록, 파랑으로 칠하는 비용이 주어졌을 때, 아래 규직을 만족하면서 모든 집을 칠하는 비용의 최솟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 1번 집의 색은 2번, N번 집의 색과 같지..
1. 문제 링크 www.acmicpc.net/problem/1086 1086번: 박성원 첫째 줄에 정답을 기약분수 형태로 출력한다. p/q꼴로 출력하며, p는 분자, q는 분모이다. 정답이 0인 경우는 0/1로, 1인 경우는 1/1로 출력한다. www.acmicpc.net 2. 문제 개요 서로 다른 정수로 이루어진 집합이 있다. 이 집합의 순열을 합치면 큰 정수 하나를 만들 수 있다. 합친 수가 정수 K로 나누어 떨어지는 순열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박성원이 우연히 정답을 맞출 확률을 분수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3. 문제 힌트 (1) 숫자의 길이가 최대 50 - 입력을 string으로 받아서 나머지를 계산해야 함. 손으로 직접 나머지를 구하는 방법 그대로 적용하자. -> O(L), ..
1. 문제 링크 www.acmicpc.net/problem/3584 3584번: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 루트가 있는 트리(rooted tree)가 주어지고, 그 트리 상의 두 정점이 주어질 때 그들의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Nearest Common Anscestor)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두 노드의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은, 두 www.acmicpc.net 2. 문제 개요 루트가 있는 트리가 주어지고, 트리의 간선들이 주어진다(부모 자식 관계). 그리고 마지막으로 LCA를 찾을 두 노드가 주어진다. 주어지는 두 노드의 LCA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3. 문제 힌트 첫 번째로 루트를 찾자. 부모 -> 자식 방향으로 간선이 존재한다고 했을 때, 루트는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두 번째로 L..